1.CP금리
CP는 기업이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, 1년이내의 만기로 발행하는 무담보 기업어음
1-1.CP금리 - 급등기사
CP금리 급등은 기업이 돈을 융통하기 어렵다는 의미
- CP금리 상승시 > 중장기 금리 상승압박 > 기업자금 조달 어려움 > 주식시장등에 부정적인 영향
1-2.CP금리 - 급락기사
- CP금리 하락 > 중장기 금리 하락 > 개인,기업의 소비,투자증가 > 경기회복 가능성증가
2.금리와 경기관계
2-1.경기가 좋아졌다 → 금리
경기가 좋을 때 > 가계,기업의 소비와 투자가 활발 > 대출 활성화 > 금리 상승
2-2.금리가 자꾸 오른다 → 경기
금리 계속상승시 > 이자부담, 대출감소> 소비,투자 감소 > 경기하락 압력
2-3.경기가 나빠졌다 → 금리
경기가 안좋을때 > 투자,대출,가계 및 기업소비 감소 > 돈 수요감소 > 금리하락
2-4.금리가 많이 내렸다 → 경기와 자산시장
금리가 계속하락시 > 가계,기업의 소비,투자가 증가 > 경기 좋아짐 >
대출증가 > 주식 ,부동산 자금유입 증가 > 주식 , 자산가격 상승 > 돈 수요증가 > 금리상승
3.기타 금리
경제신문의 금융/재테크 면에는 금융상품이 많이 소개되는데
이 기사들을 제대로 읽으려면 일단 여신금리/수신금리,
공금리/대고객금리/시중금리/실세금리 등 가장 기본적인 금리상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3-1.여신금리/수신금리
- 여신금리는 금융기관에서 고객에게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금리
- 여신금리 = 대출금리라고 생각하면 된다
- 수신금리는 금융기관이 자금을 조달해서 다시 되갚을 때 적용하는 금리이다
- 예금금리 = 수신금리이다.
3-2. 공금리/대고객금리/시장금리/시중금리/실세금리
- 공금리(또는 공정금리) > 한국은행과 금융기관 간에 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금리
- 공금리 > 한국은행에서 직접 24시간 동안 빌려오는 자금의 금리 (콜금리, 기준금리수준)
- 대고객 금리 > 금융기관과 고객 사이의 계약을 통해 정해지는 금리 (예금리 , 대출금리랑 비슷
- 시중금리 > 금융시장의 사정을 잘 반영하는 대표적인 금리
- 시중금리는 일반적으로 ‘시중은행의 대출금리’를 지칭할 때가 많다
- 실세금리 (시중금리)는 시중금리 중에서도 시중의 자금사정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금리
- 실세금리 > 국고채 금리(3년) CD금리(91일), 콜금리(1일) 등이 이에 해당
- 실세금리는 거래규모나 다른 금리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따로 ‘실세금리’라고 지칭
- 시장금리는 금융시장에서 콜, CD, CP, 채권 등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금리
- 시장금리는 기준금리와 대별되는 개념
3-3. 명목금리/실질금리
- 금리는 물가변동을 고려하느냐의 여부를 기준으로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로 나눈다.
- 명목금리는 돈의 가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숫자상의 금리
-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차감한 금리
- 이처럼 물가상승률에 비해 금리가 낮아 실질금리가 떨어지면 사람들은
- 은행 예금 감소 > 가격이 오르고 있는 주식, 부동산, 원자재 투자 > 자산,상품 수요증가 물가는 더오른다.
3-4. 실속을 챙기는 표면금리/실효금리
- 금리는 표면금리와 실효금리로 나누기도 한다.
- 표면금리는 겉으로 표시된 금리이며
- 실효금리는 실제로 지급하거나 부담하는 금리
- 표면금리가 동일한 예금이라도 복리/단리 등의 이자계산 방법이나 과세 여부 등에 따라 실효금리가 달라질 수 있다.
3-5. 고정금리/변동금리
- 고정금리는 예금이나 대출을 할 때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변하지 않고 고정된다.
- 변동금리는 시장금리의 변화에 따라 3개월 또는 6개월 단위로 금리가 바뀐다.
- 대출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, 금리가 약간 높더라도 고정금리가 낫고
- 금리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면 변동금리가 좋다.
3-6. 대출금리/우대금리/티저금리
- 가장 우수한 우량기업에 대출해 줄 때 적용하는 금리
- 초우량고객에게 적용하는 특별금리로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나 개인이
- 대출을 받을 때는 여기에 일정한 가산금리를 덧붙여 결정
- 우대금리는 고액예금, 신규계좌 개설 등 일정 요건을 갖춘 고객에게 주는 특별금리이다.
- 티저 금리(teaser interest)는 대출자들에게 첫 1~2년간 적용해 주는 낮은 대출금리이다. 일종의 ‘미끼 금리’라고 할 수 있다.
3-7. 코픽스 금리
- 코픽스 금리(cofix; Cost Of Funds IndeX)는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평균금리
- 9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·정기적금·상호부금·주택부금·CD(양도성예금증서)·금융채,
- 환매조건부채권(RP) 매도표지어음 매출 등 8개 자금조달 금리를 가중 평균해
- 매월 15일 오후 3시에 전국은행연합회(www.kfb.or.kr) 홈페이지에 공시된다.
- 코픽스 금리는 주택담보 대출금리의 기준이 된다. 현재 코픽스 금리가 3.88%라면
-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 대출금리는 ‘3.88%+가산금리’의 형태로 결정되는데
- 가산금리는 각 은행별, 그리고 대출자의 신용등급에 따라 다르다. 15일 이전이면 전달
- 공시된 코픽스 금리, 15일 이후이면 이번 달에 공시된 코픽스 금리를 적용
'경제 기초 정리 > 경제 기초 - 최진기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6 (1) | 2022.06.05 |
---|---|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5 (0) | 2022.06.05 |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4 (0) | 2022.06.05 |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2 (1) | 2022.06.04 |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1 (0) | 2022.06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