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경제 기초 정리/경제 기초 - 최진기관련
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11 통화승수 돈이 얼마나 늘었고 얼마나 빨리 회전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 1. 통화승수 통화승수는 신용창조가 얼마나 활발하게 늘어나고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금융기관들이 대출 등을 통해 시중에 공급한 통화량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. 광의통화량(M2, 평잔)을 본원통화량(M0, 평잔)으로 나누어 계산 쉽게 말해 통화승수가 25배라면 본원통화 1만원이 광의통화 25만원, 통화승수가 35배라면 본원통화 1만원이 광의통화 35만원으로 팍 늘었다는 것 1-1.통화승수가 상승 금융기관의 대출이 크게 상승 >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이 활발하고 > 돈이 도는속도 상승 > 신용경색 현상이 풀려 > 자금흐름이 정상화 1-2.통화승수가 하락 한국은행이 자금을 시중에 풀어도 저금리에도 불구 > 대출이 둔화 > 시중 통화량 둔.. 더보기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10 상승 → 하락, 하락 → 상승 경기 변동기에 주목해야할 금리 국내외 채권시장과 금리동향은 앞으로 경기의 향방을 읽을수 있는 중요한 지표 1. 국채금리와 회사채 금리의 스프레드 - 신용스프레드 국고채(3년) 금리와 회사채(AA-, 3년) 금리의 차이를 ‘신용 스프레드’라고 한다. 1-1.신용 스프레드가 커진다 기사 등장시 경기침체 > 안전한 국채로만 투자 > 국채금리하락 > 회사채 금리상승 신용 스프레드가 커지며 , 신용 스프레드가 급격히 커지는 시기에는 경기침체와 금융경색이심해진다. 1-2.신용 스프레드가 축소된다 기사등장시 경기가 회복세 > 금리가 낮은 국채의 매력이 감소 > 더 높은 수익률을 쫓아 주식, 원자재 시장 등으로 이동한다. 이에 따라 국채 수요감소 > 국채금리는 상승. 한편 경기회복 > 신.. 더보기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9 1. 회사채 금리 회사채는 기업이 시설자금이나 운영자금 등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주식회사로요건을 갖춘 기업만이 발행할 수 있다. 회사채 금리는 위험도가 높으니 국고채 금리보다 높다 2. 회사채 금리지표로 알 수 있는 것 ▼회사채의 신용등급 AAA(트리플 A)부터 D까지 18개의 등급으로 나눈다. AAA부터 BBB-까지가 투자적격, 그 이후가 투자부적격 단계 BBB-는 투자적격 회사채 중에서는 가장 위험도가 높은등급 일반적으로 우량기업의 회사채는 원금을 못 받을 위험이 적으므로 표면이자가 낮고 경영이 부실한 기업일수록 표면이자가 높다. 기업이 큰 어려움에 처하면 회사채의 신용등급이 떨어지고 채권가격도 떨어지며반대로 채권금리는 치솟는다. 회사채 BBB-(3년)의 금리는 투자적격 중 가장.. 더보기
[경제 기초ㅣ간단정리] 최진기 경제기사 바다에 빠져라 - 8 1.국고채 금리가 계속 상승, 또는 급등시 1-1.경기침체속에서 국고채 금리가 급등시 국채는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원리금을 떼일 위험이 없으므로 모든 채권 중에서도 금리가 가장 낮다. 하지만 국가의 재정이 빚더미 위에 올라앉아 있거나 국가경제가 파탄 지경이면 누구도 그 나라의 국고채를 사려 하지 않으므로 국고채 금리가 치솟는다. *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때 국고채 금리가 17.5%까지 상승 2008년 금융위기 때도 최고 6.17%까지상승했다. 이처럼 국고채 등 국채금리는 국가경제의 건전성과 위험도를 보여주기도 한다. 1-2.경기회복속에서 국고채 금리가 상승시 금리상승 추세가 뚜렷해지자 금리가 더 오르기 전에 채권을 발행하려는 기관,기업 증가 > 채권공급 상승 > 채권가격 하락 > 채권금리 상승 채권을 보.. 더보기